선천성 만곡족
Congenital clubfoot
⚊
- 선천성 만곡족이란?
선천성 만곡족 또는 내반첨족(talipes equinovarus)은 발이 비정상적으로 뒤틀리고 아래쪽으로 굽어진 상태로 태어나는 선천적 기형입니다. 이로 인해 발바닥이 발목보다 위로 향하거나 안쪽으로 굽어 있어 정상적으로 걷기 어려운 상태가 됩니다. 한쪽 발에만 발생하지만, 양쪽 발에 모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 선천성 만곡족의 증상
발뒤꿈치가 안쪽으로 휘는 내반 변형, 발등이 아래로 내려오는 첨족 변형, 그리고 발이 안쪽으로 휘고 아치가 증가하는 내전, 요족 변형의 특징적인 모양을 보입니다. 발이 안쪽으로 휘어진 모습이 곤봉이나 골프채 모양과 비슷하다고 해서 ‘clubfoot’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종아리 근육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보행에 지장을 줍니다. 선천성 사경이나 고관절 이형성증 등의 동반 질환 유무도 확인해야 합니다.
- 선천성 만곡족의 원인
선천성 만곡족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발에 국한된 기형이라기보다는 무릎 관절 아래 모든 근골격 조직의 총체적인 이형성 질환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자궁 내에서의 문제, 유전자 문제, 신경 근육의 문제 등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고 있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모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일부에서는 가족력이 있기도 하며, 임신 중 양수 부족이나 임산부의 흡연과 음주, 임신성 당뇨 등도 선천성 만곡족 발생에 영향으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뇌성마비나 척수수막류와 같은 다른 질환이 선천성 만곡족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선천성 만곡족의 진단
산전 초음파로 만곡족을 미리 진단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태어난 후 진단하게 됩니다. 특징적인 발의 모양을 눈으로 확인하고 만져보면 진단이 가능하며, 일반인도 이상이 있다는 것을 바로 인지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뼈 구조를 확인하고 다른 관련 기형이 있는지 검사합니다.
- 선천성 만곡족의 치료
선천성 만곡족의 치료는 조기에 시작할수록 효과적입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치료법은 폰세티 방법(Ponseti Method)입니다. 이 방법은 도수조작으로 발이 제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하면서 석고 고정으로 교정을 유지해 서서히 교정하는 방법입니다. 1~2주마다 반복하며, 약 4~5회 정도 시행합니다. 많은 경우에 교정 후 아킬레스건 연장술이 필요합니다. 교정이 완료된 후에는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수년간 보조기를 착용하면서 재발 여부를 확인합니다. Ponseti 치료 이후에도 변형이 잔존하거나 재발하는 경우에는 수술적 교정이 필요합니다.
<폰세티 방법으로 치료하는 과정 중 발의 변화 모습>
- 선천성 만곡족의 예후
선천성 만곡족은 치료 후에도 만곡족이 있던 발이 더 작고 종아리가 가늘며, 내족지 보행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치료를 통해 발의 모양과 기능을 회복하고, 정상 보행이 가능하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글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정형외과 박경현 교수 >